운영체제/Linux 35

[Linux] user shell 차이- /usr/sbin/nologin vs /usr/bin/false

오랜만에 글을 끄적 거리게 되었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쓰던 옵션(?)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끄적거립니다.  Linux의 user 계정을 생성하다보면 보통 shell부분에 /bin/bash 또는 /bin/sh  같은 쉘환경을 넣게 되는데 이때 특정 계정에 한해서는 로그인을 못하도록 설정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usr/bin/flase 또는 /usr/sbin/nologin 과 같은... 평소 아무 생각없이 사용하다가 문득 둘의 차이는 뭘까라는 생각이 들어 찾아 보고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Ubuntu 24.04   기준# 서버 설정등에 따라 필자와 출력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먼저 "/usr/sbin/nologin" 으로 설정을 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자체가 ..

운영체제/Linux 2025.04.04

[Linux] readlink - 링크걸린 파일의 원본 파일 출력

또.... 끄적 거려 봅니다.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필요 또는 의도치 않게 링크걸린 파일을 사용하거나 설정을 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링크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할때는 크게 불편하거나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다만, 링크 설정된 파일의 원본 파일을 찾고자 할때가 종종 있습니다. 링크된 파일이 어느 파일인지 알아야 할때가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종종 확인 하였습니다.$ ls -al /etc/localtimelrwxrwxrwx 1 root root 30 Nov 6 08:31 /etc/localtime -> /usr/share/zoneinfo/Asia/Seoul 간단하게 확인 할 때는 주로 ls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하였습니다.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운영체제/Linux 2024.11.06

[Linux] Tar를 이용한 원격지 or Local 파일 copy

A_SVR : 로컬서버 B_SVR : 원격지 서버(Remote server) CASE1. A 라는 local서버에서 B라는 원격지 서버로 "test"라는 파일(또는 디렉토리를) Tar 명령어를 통해 보내고자 할 경우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Usage ) cd [PATH] && tar cf - test | ssh -oStrictHostKeyChecking=no root@B_SVR_IP "cd [SAVE_PATH] && tar xf -" # cd [PATH] && tar cf - test | ssh -oStrictHostKeyChecking=no root@B_SVR_IP "cd [SAVE_PATH] && tar xf -" CASE2. A 라는 local서버에서 B라는 원격지 서버 내에 있는 ..

운영체제/Linux 2024.01.05

[Linux] tee Command를 이용한 stdout / stderr 처리 관련

간만에 끄적 거려 봅니다. 최근 CI/CD를 하다보니 Error 상황을 많이 마주치게 됩니다. 리눅스 커맨드를 사용할때 Error가 발생할 경우 파일로도 저장을 하고 싶고 종료하고 싶을때도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그중 tee command를 이용한 처리 방법입니다. 정답은 아닙니다. 다만.. 필자가 겪은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내용이며, 필자 또는 또 다른 누군가가 저와 같은 고충을 겪었을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것입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tee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ls -al | tee stdout.log total 5176 drwxr-x--- 9 ubuntu ubuntu 4096 Dec 6 03:33 . drwxr-xr-x 4 root root 4096 Oct 24 14:..

운영체제/Linux 2023.12.06

[Linux] Hex <-> Dec 변환

Linux에서 10진수를 16진수로,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10 진수 -> 16진수로 변환 ( Dec -> Hex ) Usage) $ printf "0x%x\n" "{10진수}" (ex) $ printf "0x%x\n" "289" 0x121 16 진수 -> 10진수로 변환 ( Hex -> Dec ) Usage) printf "%d\n" "{0x포함16진수}" (ex) $ printf "%d\n" "0x121" 289 상기 방법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존재 한다. 다만 필자는 쉽고 printf 명령어로 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을 하였을 뿐이다.

운영체제/Linux 2022.11.22

[Linux] unix Timestamp 를 date로 변환

unix timestamp를 date format으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unix timestamp가 필자가 겪은 봐로는 숫자 11자리여야 하는데.... 11자리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unix timestamp도 있다. 이때 숫자 자릴수를 확인 한다음에 11자리로 맞추어 준다. 아래 예제는 unix timestamp가 숫자 11자리가 아닌 17자리일때에 대한 예제이다. timestamp 자릿수가 11자리이면 변환없이 바로 format만 변환하면 된다. 17 -> 11자리로 변환 SHELL) $ echo "1635927075423743" | wc -c 17 SHELL) $ echo "$((1635927075423743 / 1000 / 1000))" | wc -c 11 unix timestamp -> da..

운영체제/Linux 2022.11.22

[Linux] 파일 인코딩 확인 및 변환(iconv) euc-kr <=> utf-8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가끔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한번만 사용하는거라면 크게 상관은 없지만 계속 사용해야하는 파일은 신경이 쓰이게 된다. 터미널 환경에 따라 달라지고 그에 따른 환경에 맞게 터미널 환경을 변경 해도 되지만.... 필자의 경우 Mac을 사용하고 기본적으로 터미널 환경에서는 utf-8 환경을 사용하고 있는데 간혹 euc-kr로 인코딩이 되어 있어 한글이 깨져보일때가 있다. 먼저 파일의 인코딩 확인 하는 방법이다. [파일 인코딩 확인] $ file -bi [FILENAME] text/plain; charset=iso-8859-1 [파일 인코딩 변환] usage) iconv -c -t iso-8859-1 -t utf-8 원래파일명 > 변환된후 파일명 $ iconv -c -t iso-8859..

운영체제/Linux 2022.01.06

[Linux] mount fail "Mounting V5 Filesystem...Ending clean mount" Error 발생

linux 에서 디스크를 추가 하던 도중 정상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 하였음에도 mount시 자동으로 umount가 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되었다. 즉, mount했다가 바로 umount 되면서 실제로 disk가 mount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consol상에서 mount명령어로 실행을 하여도 별다른 메시지나 error가 발생하지 않음에도 새로 추가한 disk가 정상적으로mount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var/log/message를 확인 해 보니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었으며, 어떠한 이유로 인해 자동으로 umount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vi /var/log/message ...(생략) Dec 6 14:21:03 hostname kernel: XFS (nvme3n1p1):..

운영체제/Linux 2021.12.07

[Linux] mount fail : structure needs cleaning (구조에 청소가 필요합니다)

잘 사용하던 VM이 부팅이 불가하여 원인을 찾고자 부팅이 불가한 VM의 볼륨을 가져다가 다른 VM에 붙여 확인하여 하였는데 mount하는 순간 아래와 같이 Error가 발생하면서 mount가 되지 않았다. # mount /dev/centos/root /data mount: mount /dev/mapper/centos-root on /data failed: 구조에 청소가 필요합니다 뭔 구조에 청소가........ 구글링을 해보니 "structure needs cleaning"이라는 뜻이고 이는 파일시스템(file system)에 이상이 있어 정상적으로 붙일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것으로 추측이 된다. 일단 필자의 경우 아래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을 하였다. # xfs_repair -v -L [파티션 이름 or..

운영체제/Linux 2021.04.28

[Linux] Linux PW + Google OTP 한번에 같이 입력하기....(Password & verification code)

CentOS에 2FA인증을 위해 Google OTP를 설정한 후 패스워드와 OTP Code를 따로 입력하는 방법이 아닌 결합하여 한번에 입력하는 방법이다. Google OTP설치 방법은 아래 필자의 블로그를 참조 한다. 2020/11/11 - [운영체제/Linux] - [Linux] Centos7에 Google OTP 설치 (2 Factor인증) [Linux] Centos7에 Google OTP 설치 (2 Factor인증) 2 factor 인증을 위한 설정 방법이다. 구글 OTP인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찾아 봤으나 대부분 구글 OTP를 이용하여 2Factor 인증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가 되어 있다. 다른 블로그에도 상세 설명이 되어 louky0714.tistory.com 계정의 패스워드가 "user_pa..

운영체제/Linux 2020.11.11
반응형